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코인 정보

암호화폐(코인) 핵심 용어

by J.Justin 2022. 4. 7.
반응형

비트코인

 

블록체인 용어

  • 블록체인(Block Chain) :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수많은 컴퓨터에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
  • 블록(Block) :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로 여러 개의 트랜잭션(계약)을 모아서 하나로 묶어놓은 개념
  • 노드(Node) :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라는 특성상 중앙 서버가 없어서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수많은 서버가 존재하고 이를 노드라 지칭
  • ICO(Initial Public Offering) : 프로젝트의 청사진과 로드맵을 공개한 후 코인을 발행해 판매하는 것으로 암호화폐 공개라고 지칭. 주식의 기업 공개 IPO에 빗대어 나온 용어
  • IDO(Initial Dex Offering) : 탈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토큰을 판매하고 자금을 모집하는 것
  • IEO(Initial Exchange Offering) : 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토큰을 판매하고 자금을 모집하는 것
  • 백서(White Paper) : 암호화폐의 사업계획서. 주로 ICO를 통해 투자를 받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 프로젝트의 목적과 사업 방향성, 기술, 마케팅 등 전반적인 정보
  • 포크(Fork) : 기존의 소스 코드를 복사해 독립적이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 기존 소프트웨어와의 호환 여부에 따라 소프트와 하드로 구분
  • 소프트포크(Soft Fork) : 이전 버전과 호환할 수 있는 포크를 지칭.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업데이트하는 개념에 가깝고, 이전 암호화폐가 지녔던 규칙을 그대로 따름
  • 하드포크(Hard Fork) : 이전 버전과 호환이 되지 않는 별개의 새로운 블록체인으로 독립하는 개념. 대표적으로 비트코인을 하드포크 해 라이트코인과 비트코인캐시등이 탄생했음
  • 채굴(Mining) : 블록체인상의 거래 명세를 검증하는 데 참여하고,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받는 것
  • 해시레이트(Hashrate) : 얼마나 많은 채굴기가 암호화폐를 채굴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 수치가 높을수록 채굴기의 숫자가 많거나, 각 채굴기의 연산 능력이 높다는 의미
  •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 :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노드마다 최종적으로 같은 기록을 채택하게 하는 방식. 대표적으로 작업증명 방식(Pow : Proof of Work), 지분증명 방식(PoS : Proof of Stake), 위임증명방식(DPoS : Delegated Proof of Stake)이 있음
  • 작업증명 방식(PoW) : 압도적인 컴퓨팅 파워를 이용해 연산을 풀고 블록을 생성, 막대한 전력을 사용해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이 있음
  • 지분증명 방식(PoS) : 암호화폐를 보유한 지분에 비례해 의사 결정 권한을 부여
  • 위임지분증명 방식(DPoS) : 대표 노드를 선정하고, 이 대표 노드끼리 합의하여 의사 결정을 내리는 방식
  • 스마트 콘트랙트(Smart Contract) : 특정 조건에 맞으면 계약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스마트 계약이라고도 함
  • 메인넷(Main Net) :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기존에 존재하는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
  • 디앱(DApp) : 메인넷 위에서 구동되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 댑이라고도 지칭. Dapp, dApp, dapp 등 다양하게 표기
  • 코인(Coin) : 메인넷을 보유하고 있으면 코인이라고 지칭
  • 토큰(Token) : 메인넷 없이 다른 플랫폼에서 만들어지면 토큰이라고 지칭
  • 스테이킹(Staking) : 보유한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해 데이터 검증에 기여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받는 것
  • 거버넌스 토큰(Governance Token) :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주요 의사 결정에 참여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토큰
  • 핫월렛(Hot Wallet) : 온라인에서 동작하는 지갑으로 바로 입출금과 송금을 할 수 있는 암호화폐 지갑. 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 등을 주로 사용
  • 콜드월렛(Cold Wallet) : 오프라인 상태에서 작동하는 하드웨어 지갑.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해킹이 거의 불가능함.
  • 에어드랍(Air Drop) : 투자자가 보유한 특정 코인에 대해 투자 비율에 따라 무상으로 새로운 코인을 지급하는 것
  • 스냅샷(Snapshot) : 에어드랍 시 지급될 수량을 계산하기 위해 특정 시점에 보유하고 있던 코인의 잔액을 기록하고 백업하는 것
  • 디파이(Decentralized Finance) :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 말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 기관의 통제 없이 운영되는 금융 서비스
  • NFT(Non-Fungible Token) :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을 지칭. 기존의 암호화폐와 달리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고 있어 고유한 가치를 지님
  • 민팅(Minting) : 해당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거래 가능한 토큰으로 주조하는 것
반응형

'암호화폐 > 코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론코인 정보 및 전망  (0) 2022.04.08
알고랜드 코인 정보 및 전망  (1) 2022.04.05
웨이브 코인 정보 및 전망  (0) 2022.04.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