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에는
다우존스 지수, 나스닥 지수, S&P500 지수가 포함된다.
다우존스 지수는 뉴욕 다우-존스 사가 매일 발표하는
뉴욕 주식시장의 평균주가이며,
나스닥 지수는 벤처, 중소기업들의 주식을 장외에서 거래하는
나스닥 시장의 종합주가지수이고,
S&P500은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작성하는 주가지수이다.
다우존스 공업 평균지수(DJIA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다우존스공업평균지수(DJIA)는 뉴욕의 다우-존스사가 매일 발표하고 있는 뉴욕 주식시장의 평균 주가를 말한다.
3대 지수 중 가장 대표적인 지수로, 세계 증시의 대표지수 역할도 하고 있다.
이는 미국 금융전문 기자 출신의 다우-존스사 설립자인 찰스 다우(1851 ~ 1902)가 1896년에 에드워드 존스(1856~1920)
와 함께 개발한 것이다.
당시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던 12개 기업의 평균 주식 가치가 다우존스의 시발점이 되었는데, 출발 당시 지수는 40.94포인트였다.
창설 당시 12개 기업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회사는 세계 최대 글로벌 인프라 기업인 제너럴 일렉트릭(GE)이 유일하다.
현재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JIA)는 미국 주식 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30개의 우량주식들(일명 'blue-chip stocks')을 표본으로 채택하여, 이들의 주식 가격 평균을 산출한다.
다우존스는 개별기업의 수익률의 총합을 총기업수로 나누는 방식인 수익률 평균 방식으로 지수를 사용하는데, 이 때문에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하는 S&P500 지수에 비하여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고, 또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30개의 규모가 크고 오래된 주식들만을 포함하고 있어 이 주식들이 시장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나스닥(NASDAQ :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지수
나스닥(NASDAQ) 지수는 벤처, 중소기업들의 주식을 장외에서 거래하는 나스닥 시장의 종합주가지수이다.
나스닥은 뉴욕 증권거래소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거래가 이뤄지는 증권시장이 아니라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거래 당사자에게 장외시장의 호가를 자동적으로 제공, 거래가 이뤄지도록 하는 일종의 자동 시세 통보시스템이다.
나스닥 지수는 지수 100의 기준시점이 1971년 2월 5일이며, 이후 나스닥증시의 모든 보통주를 시가총액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산출하고 있다.
나스닥은 세계 각국의 장외 주식시장의 모델이 되고 있는 미국의 특별 주식시장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벤치기업들이 자금조달을 위한 활동기반을 여기에 두고 있다.
나스닥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회사 설립 초기 적자를 기록하는 기업에도 문호를 개방하고 있어 기업들이 주식시장에 쉽게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로서도 위험성은 뒤따르나 높은 이익을 남길 수 있다는 매력에 끌리고 있다.
S&P 500 지수(S&P 500 : Standard & Poor`s 500 index)
S&P 500 지수는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작성하는 주가지수이다.
다우존스 지수와 마찬가지로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주가지수지만,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수가 다우지수의 30개보다 훨씬 많은 500개이다.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우량 기업주를 중심으로 선정한다.
기업규모, 유동성, 산업 대표성을 감안하여 선정한 보통주 500 종목을 대상으로 자성해 발표하는 주가지수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공업주(400 종목), 운수주(20 종목), 공공주(40 종목), 금융주(40 종목)의 그룹별 지수가 있으며, 이를 종합한 것이 S&P 500 지수이다.
산출방법은 각 종목의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하여 시가총액을 구하고, 전체의 시가총액 합계를 기준연도인 1941 ~ 1943년의 평균 시가총액으로 나눈 뒤에 기준 시의 지수(10)를 곱하는 시가총액 방식이다.
개별종목의 주가 상승률이나 각종 주가지표, 주식형 펀드의 운용실적 등을 전체 시장과 비교할 때 전체 시장의 상승률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VIX 지수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에서 거래되는 S&P500 지수옵션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증시 지수와는 반대로 움직여 공포지수라 한다.
1993년 미국 듀크 대학의 로버트 E. 웨일리 교수가 미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기 위해 개발한 S&P 500 지수옵션에 대한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투자 기대 지수를 나타낸다.
시장 상황에 대한 정보, 수급과 함께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를 수치로 나타낸 지수로, 예를 들면 VIX 30(%)이라고 하면 앞으로 한 달간 주가가 30%의 등락을 거듭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S&P 500 지수옵션의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높아질수록 VIX지수는 올라간다. 변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투자자들의 심리가 불안하다는 것을 의미해, 흔히 VIX지수를 '공포지수(fear index)'라 부른다.
VIX지수는 주식시장과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다. 이 지수가 높아지면 주식시장의 변동이 커질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는 것이고, 이는 투자에 대한 불안심리가 높아 증시에서 주식을 팔고 빠져나가려는 투자자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후 주가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VIX지수가 최고점에 이르면 공포심리가 극에 달해 매도세가 소진(주식을 팔 사람을 모두 판 상태)되면 주가가 바닥을 형성했다는 의미로 증시 반등의 신호로 해석되기도 한다.
VIX지수는 보통 20∼30 정도 범위를 평균 수준으로 받아들여지고 40 이상 50에 근접하면 바닥권 진입의 징조로 해석되어 주가 반등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융불안 상태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최고조를 이루던 2008년 10월 24일에는 장중 한때 89.53으로 치솟아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미국 주식 >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미국증시(미국주식) 하반기 휴장일 & 서머타임(거래시간) (0) | 2023.06.30 |
---|---|
2022년 미국증시(미국주식) 하반기 휴장일 및 거래시간 (4) | 2022.05.30 |
VTM :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란? (0) | 2022.05.27 |
댓글